[아시아에이=이수현 기자] 한국은행이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 등 중앙은행 정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해 스테이블코인 규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21일 한은이 발표한 '2024년 지급결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5개 가상자산거래소의 투자자 수는 1825만명, 보유금액(보유 가상자산 시가평가액)은 104조1000억원,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7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미국·홍콩 등의 가상자산 현물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유럽연합(EU)의 암호자산 규제법안(MiCA) 시행 등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또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예치금, 가상자산 보유금액, 거래대금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역시 확대됐다. 지난 16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약 77조4600억원이다.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법정화폐 가치에 연동하도록 설계한 암호화폐를 말한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가상자산 관련 입법 논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스테이블코인 규제 등과 관련한 의견을 낼 예정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지급수단적 특성을 내재한 만큼, 광범위하게 발행·유통돼 법정통화를 대체하는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 등 중앙은행 정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별도 규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가상자산위원회 등 향후 진행될 스테이블코인 입법 논의에 적극 참여해 중앙은행 관점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 방향에 의견을 제시하는 등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바람직한 지급결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병목 한은 금융결제국장은 "외부충격으로 스테이블코인 가치가 법정화폐 가치에 정확히 1대1로 연동되지 않고 가치가 축소되면 상환 요구가 이어질 수 있다"며 "이때 발행기관이 예금을 대거 인출해서 대응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이 국채시장의 수요 기반을 제공한 부분이 있으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한은도 유사한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 신한투자증권·솔라나 재단, STO·RWA 협력...커스터디 인프라 구축
- 케이뱅크, '원화 스테이블코인 해외송금 기술검증' 참여
- 코빗 리서치센터, 메사리 리포트 번역본 '2025년 가상자산 투자 테마' 발간
- 코빗 "비트코인 전략자산 법안...국가 간 경쟁 심화될 것"
-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스테이블 코인 통해 달러 지배력 강화할 것"
- 빗썸, 인적분할 재추진...투트랙 성장 전략 본격화
- 코인원, 카카오뱅크 앱 내 ‘가상자산 시세정보’ 제공
- "높은 수익 보장" 미끼에 투자자 '울상'...금융당국, 제도 개선 예고
- 빗썸나눔, 송죽원 찾아 나눔 실천
- 빗썸, 뮤지컬 '위키드' 내한공연 공식 후원
- 코빗 리서치센터, ‘기관투자자를 위한 가상자산 배분 전략 2.0’ 발간
- 한은, 1분기 -0.2% 성장...건설 투자 급감, 소비 회복 미미
- 빗썸, '마르크 샤갈 특별전' 전시 관람권 증정 이벤트 진행
- 코빗, 페이코인 2차 에어드랍 이벤트 진행
- 코인원, 상시 이벤트 ‘목요 코인 페스타’ 진행
- 4월 은행 가계대출 4.8조 증가...주담대 큰 폭으로 상승
- 코빗 리서치센터 "가상자산 거래소는 많다, 신뢰는 드물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기업의 수익성 증가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