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카톡에서 발급 및 이용, 온·오프라인 모두 사용
행안부 적합성 통과, 높은 보안성과 안정성 확보
발급 고객 대상 캐시 및 치킨 쿠폰 이벤트 진행
[아시아에이=김호성 기자] 카카오뱅크가 실물 신분증 없이 병원, 은행, 관공서 등에서 신분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카카오뱅크 앱과 카카오톡 '더보기' 탭에서 모두 이용 가능해 사용자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신분증은 실물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 IC 칩 내장 실물 신분증 보유자는 카카오뱅크 앱에서 비밀번호 및 얼굴 인증 후 발급받을 수 있다. 사용 시에는 지문 인증이나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6월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참여 기업으로 선정되어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행안부 지정 모든 적합성 기준을 통과하며 보안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아 서비스를 시작했다.
특히, 안드로이드와 iOS 운영체제를 모두 지원해 단말기 제약 없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모바일 신분증 정보는 사용자 스마트폰 내 보안 영역에 암호화 저장되며, 사용할 때마다 블록체인과 실시간 연동돼 인증된다.
이날 행정안전부 '모바일 신분증 민간 개방 오픈 행사'에서 카카오뱅크는 주류 구매 시 모바일 신분증으로 본인 인증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이용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
카카오뱅크는 서비스 오픈 기념으로 오는 10월 20일까지 모바일 신분증 발급 고객에게 최대 1만5000원 상당의 캐시를 지급한다. SNS 공유 이벤트 참여 고객 500명에게는 추첨을 통해 치킨 쿠폰도 제공한다.
카카오뱅크는 자체 인증 도입으로 공인인증서 없는 뱅킹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금융권 인증 체계 변화를 이끌었다. 본인확인기관 등 인증 라이선스 3종을 모두 취득해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금융기술연구소를 통해 신분증 촬영, OCR 인식, 안면 인증 등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여 서비스에 도입했다. 현재 금융권 최초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하반기 내 인증 획득 후 기술을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신분증은 개인 신원을 증명하는 수단인 만큼, 고객이 일상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해야 한다"며, "카카오뱅크의 보안 기술력으로 안정적인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