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PF 익스포져 120.1조 중 부실 우려 가시화...건설사·제2금융권 연쇄 타격 가능성

금융권 PF대출 연체율 추이(단위%).[사진 = 금융위원회, 딜로이트 인사이트]
금융권 PF대출 연체율 추이(단위%).[사진 = 금융위원회, 딜로이트 인사이트]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전방위 리스크가 금융권과 건설업계를 동시에 압박하고 있다.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는 유동성 공급과 제도 정비에 나섰지만 시장 내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15일 금융위원회와 딜로이트인사이트에 따르면 2025년 3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PF대출 잔액은 약 120.1조 원이며, 이 중 연체율은 4.49%를 기록했다. 이는 수치상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한 수치로, 중대형 건설사와 대출기관 전반의 건전성을 위협하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위험이 집중된 곳은 제2금융권이다.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 상호금융 등 중소금융기관이 주로 취급하는 토지담보 PF대출 총액 16.9조 원 중 4.7조 원이 연체된 것으로 집계되며, 연체율은 28.05%에 달했다. 불과 2024년 말 기준 대비 6.34%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단기간 내 급격한 악화를 의미한다.

시장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고위험 익스포져가 연쇄 부도로 번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브릿지론과 본 PF대출의 연체가 본격화되면 시행사의 현금흐름 악화, 시공사의 책임준공 리스크 전이, 금융기관의 대손충당금 확대로 이어지며 전방위적 부실이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PF의 사업구조 [사진 = 딜로이트 인사이트]
부동산PF의 사업구조 [사진 = 딜로이트 인사이트]

정부는 이에 대응해 연내 5조 4000억 원 규모의 유동성 공급을 결정하고, 중소건설사 및 비은행권을 대상으로 PF 특별보증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다. 아울러 한시적으로 시행 중인 PF 규제 완화 조치도 2025년 말까지 연장해 시장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PF 정리 및 재구조화도 병행되고 있다. 전체 23.9조 원 규모의 부실 PF사업 중 약 12.6조 원이 정리된 것으로 파악되며, 나머지 11.3조 원에 대해 단계적 구조조정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업계는 여전히 구조적 취약성을 지적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다수 시행사는 전체 사업비 대비 5~10% 수준의 낮은 자기자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고금리 브릿지론 의존도도 여전히 높다.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 물량 누적 역시 시장의 회복을 저해하는 핵심 변수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율이 더 이상 특정 구간에 국한되지 않고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경계심이 높다”며 “대출 심사 기준 강화와 함께 채권 구조조정에 대한 선제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향후 부동산PF 사업자에 대한 자기자본비율 상향, 공공기관의 매입 보증 확대, 제도 개선 등 포괄적 재정비 로드맵을 검토 중이다. 딜로이트는 보고서를 통해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구조적 해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