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감독원 중소금융 담당 부원장보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부동산 PF정리 재구조화 경과 및 실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해당 기사와 사진은 무관) [사진 = 뉴스1]
한국 금융감독원 중소금융 담당 부원장보가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부동산 PF정리 재구조화 경과 및 실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해당 기사와 사진은 무관) [사진 = 뉴스1]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부실 사업장이 21조9000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4차 사업성 평가에 따르면 전체 사업장 중 11.5%가 유의 또는 부실우려 사업장으로 분류됐다.

당국은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을 정리·재구조화 완료했으며, 향후 정상화펀드 등을 통해 추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 간 회수 가능성의 격차, 업권별 리스크 편차 등 구조적 한계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5일 NICE신용평가가 공개한 '부동산PF 상황 점검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3월 말 기준 전체 금융권 부동산PF 사업장(190.8조원) 중 유의사업장은 6.6조원, 부실우려사업장은 15.4조원으로 집계됐다.

전 분기 대비 전체 사업장 규모는 축소됐지만, 유의 및 부실우려 비중은 오히려 9.5%에서 11.5%로 확대됐다. 이는 신규 연체 증가와 일부 사업의 구조조정 지연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정리·재구조화 대상 여신 23.9조원 가운데 2025년 1분기까지 누적 9.1조원이 이행 완료됐다.

이 중 정리 규모는 경공매·수의계약·상각 등을 통해 6.5조원, 재구조화는 자금공급·구조 개편 등을 통해 2.6조원에 달한다. 정부는 2분기 중 PF 정상화펀드 1.2조원을 추가 집행해 상반기 누적 12.6조원, 즉 전체의 52.7%를 정리하겠다는 목표다.

업권별 리스크 완화도 눈에 띈다.

2022년 말 레고랜드 사태 직후 대비 저축은행의 PF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141%에서 72%로, 캐피탈사는 95%에서 60%로 각각 크게 개선됐다.

그 결과 NICE신용평가 기준 상반기 금융회사 신용등급 변동은 상향 8개사, 하향 9개사로 나타나며 하향 우세는 유지됐지만 지난해보다 완화된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지방과 비주택 위주 사업장, 중소건설사 등에는 여전히 자금조달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금융기관 간 금리 경쟁이 벌어지는 수도권 양호 사업장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개발 앵커리츠(1조원), 비은행권 PF보증(2조원), 미분양 안심환매(2.4조원),비주택 사업자보증 신설(4조원) 등 총 5.4조원의 2차 추경을 편성해 시장 안정화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절반 이상 정리·재구조화가 진행된 점은 긍정적이지만, 구조적 리스크가 상존하는 가운데 향후 잔여 부실자산에 대한 처리 난이도는 높아질 것”이라며 “정책적 뒷받침과 함께 지역별 편차에 따른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