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동양생명·ABL생명 매각 공동대책위원회 [사진=이수현 기자]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동양생명·ABL생명 매각 공동대책위원회 [사진=이수현 기자]

[아시아에이=이수현 기자]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그룹의 동양·ABL생명보험사 자회사 편입 승인과 관련해 안건소위에서 논의 중에 있는 가운데 동양·ABL생명 노조는 “우리금융이 당사 동의 없이는 어떠한 것도 노동조합에 약속하지 말라더니 내일이라도 인수가 마무리 될 것처럼 개입하고 간섭한다”고 전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동양생명·ABL생명 매각 공동대책위원회(이하 동양·ABL생명 노조)는 15일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직원들의 고용보장과 보상방안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촉구했다.

동양·ABL생명 노조에 따르면 중국 다자그룹은 동양생명과 ABL생명 매각과 관련해 우리금융지주의 동의가 필요하다며 직원들의 고용보장과 보상방안 요구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측은 금융위원회 승인 절차가 완료된 후에나 논의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우리금융그룹은 지난해 8월 28일 이사회를 열고 중국 다자보험으로부터 ABL 지분 100%(2654억원)와 동양생명 지분 75.34%(1조2840억원)을 1조5500억원에 매입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고 10%의 계약금 1550억원을 냈다.

김태갑 전국사무금융 서비스 노동조합 생명보험 업종본부장은 “작년 동양생명과 ABL생명 보험의 매각이 가시화되자마자 사무금융노조는 조합원들의 고용 안정과 근로 조건을 지키기 위해서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조합원의 생존권이 걸린 만큼 우리금융지주에 노동조합과 성실히 대화할 것을 요구했으나 답변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매각 주체인 중국 다자보험그룹에도 고용 보장과 단체협약 승계, 직원들의 노고에 대한 적절한 보상 등을 요구했으나 동양생명과 ABL생명 경영진을 통해 무책임한 답변만 돌아왔다”며 “금융위의 조건부 승인을 전제로 곧 매각이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우리 조합원들은 매각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돼 있어 우리의 고용과 근로 조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 수 없다”고 부연했다. 

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의 동양·ABL생명 인수 작업은 오는 8월께 종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현재 동양·ABL생명보험사 자회사 편입 승인과 관련 안건소위에서 논의 중에 있으나 시장에서는 금융위가 이달 말 정례회의에서 조건부로 최종 승인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동양·ABL생명 노조는 중국 자본의 속성상 매각이 승인되고 잔금이 치러지고 나면 다자그룹은 나 몰라라 하고 떠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금융위가 노동자들의 고용보장과 보상방안이 확보될 수 있도록 업무집행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김 본부장은 “최근 MG손해보험의 매각이 노동조합의 반대에 의해 무산된 바 있다”며 “우리는 그런 상황을 결코 원치 않는다”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다자보험그룹, 우리금융지주가 고용 안정 등 현안을 노동조합과 즉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금융위원회는 직원들의 고용 보장을 내팽개치고 다자 보험 그룹이 먹튀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동양·ABL생명 노조가 다자그룹 및 우리금융에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이수현 기자]
동양·ABL생명 노조가 다자그룹 및 우리금융에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이수현 기자]

동양·ABL생명 노조는 법적주인인 다자그룹에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노조에 따르면 다자그룹은 노동조합과 직원들의 요구에 응답하지 못하는 이유로 인수 주체인 우리금융의 동의를 내세웠다. 우리금융 측은 금융위원회의 승인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 논의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선미 동양생명보험지부 지부장은 “우리금융은 두 보험사를 동시에 인수하는 패키지 매각 방식의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데, 동종 업계인 두 회사를 동시에 인수한다면 중복 인력 문제는 피할 수도 없고 구조조정 가능성은 누구나 쉽게 예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조직 문화의 충돌 또한 불보듯 뻔한 일이고, 직원들이 불안해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노동조합은 △고용 안정을 위한 협약서 체결 △회사를 성장시켜온 직원들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 △인수 후 독립 경영 등을 다자 그룹에 수차례 요구했지만 그때마다 다자그룹은 인수사인 우리 금융의 의견에 따라 금융위 심사가 통과된 이후에나 대화할 수 있다는 말만 반복하며 대주주로서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동양생명의 법적 주인은 다자 그룹”이라며 “아직 진짜 주인이 아닌 우리 금융의 핑계만 댈 것이 아니라 불안해하는 직원들에게 최소한의 도리는 다 해야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양·ABL생명 노조는 우리금융지주의 책임도 강조했다. 생명 노조는 우리금융 및 인수단의 입장을 지난 7일까지 회신해달라는 공문을 정식 공문으로 요청했으나 현재까지도 답변을 받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우리금융지주는 동양·ABL생명에 각 자회사와 시너지 효과를 검토한 자료 제출 및 일부 부문에서는 2025년 사업계획 제출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최 지부장은 “우리 금융도 책임을 회피하지 말아야 한다”며 “노동조합은 다자 그룹이 공식적으로 우리 금융 의견을 핑계로 답변하지 않고 있는 부분에 대해 우리 금융 지주 및 인수단의 입장을 4월 7일까지 회신해 줄 것을 정식 공문으로 요청했으나 지금까지 아무런 답변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 금융은 인수 심사가 승인되지 않아 노동조합 요구에 대화 자격이 없다는 인수 이유를 전제로 두 회사의 광범위한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것은 말과 행동이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실제로 우리금융지주는 최근까지 두 보험사 인수 이후 우리금융 각 자회사와 시너지 효과를 검토한 자료 제출 요구가 있었고, 심지어 일부 부문에서는 2025년 사업계획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런데도 직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노동조합과의 대화는 자격이 없고 자료 제출 요구에는 정당한 자격이 주어지는 거냐”고 호소했다. 

[사진=이수현기자]
동양·ABL생명 노조 측은 다자그룹과 우리금융이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직원들의 요구를 회피하지 말고 대화에 적극 나서길 촉구하고 있다. [사진=이수현기자]

동양·ABL생명 노조 측은 다자그룹과 우리금융이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직원들의 요구를 회피하지 말고 대화에 적극 나서길 촉구하고 있다. 또 금융위가 우리금융이 요구하는 자료들이 내부 통제 위반 소지는 없는지 철저히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건 ABL생명보험지부 지부장은 “회사 매각은 직원 생존권과 직결된 중요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 안정과 직원들의 이익은 보장되지 않고 있다”며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우리금융지주는 고용 승계를 보장하고 정당한 보상과 이익을 직원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금융지주는 인수자로서 즉시 책임 있는 자세로 노동조합과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며 “또 금융위원회는 고용 안정과 직원 이익이 보장되지 않는 M&A는 승인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