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데이터 기반 감독 시스템 구축...디지털 전환 본격화
AI 활용 불공정 거래 적출, 디지털 인허가 시스템 도입 등 추진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아시아에이=김호성 기자] 금융감독원이 17일 전 임직원이 참여한 가운데 '금융감독 디지털 전환 선포식'을 개최하고, 데이터 기반의 사전 예방적 감독 체계 구축을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포식은 디지털 전환의 시작을 알리고, 금감원의 미래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선포식에서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과 추진 전략, 기대 효과 등을 직접 설명하며 변화와 혁신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디지털 전환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불공정 거래 적출 시스템을 구축하여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건전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민원·분쟁 처리, 인허가 등 감독 서비스 전반에 걸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여 금융회사와 금융 소비자의 편익을 증진할 예정이다. 민원 처리 프로세스 재설계, 생성형 AI 활용 확대, 디지털 인허가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정보 제공을 강화하여 금융 감독 정보 접근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업무용 태블릿 PC, 무선 네트워크 환경 등 디지털 도구 및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공간 제약 없는 디지털 중심의 업무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금융위원회와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검사·제재 정보, 인허가 서류, 주요 통계 등을 공유하여 금융 정책 업무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복현 원장은 "인력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급변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리스크 파악 및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디지털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기술의 단순 적용을 넘어 디지털 친화적인 조직문화가 필요하다"며 "기본적인 업무 수행부터 의사 결정에 이르기까지 관성에서 벗어나야 혁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향후 3년간(2025~2027년) 단계적으로 디지털 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주요 과제 중심으로 진행 상황과 효과를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