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독립형 IDC 첫 민간 밸류애드 사례...추가 수전 확보로 멀티테넌트 전환 추진

[사진 = 알스퀘어]
[사진 = 알스퀘어]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알스퀘어는 자사가 주간한 세종텔레콤 분당 IDC 매각이 최근 마무리됐다고 10일 밝혔다.

거래 상대는 하나대체자산운용에서 파인앤파트너스자산운용으로, 국내 데이터센터 투자시장 내 중소형 자산 대상 리노베이션형 밸류애드(Value-add) 전략이 본격화되는 첫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에 거래된 세종텔레콤 분당 IDC는 경기 용인시 수지구 용구대로 인근에 위치한 연면적 8816㎡, 대지면적 3096㎡ 규모의 단독 건물이다.

세종텔레콤이 전층 책임임차 중이며, 다수 전차인을 둔 코로케이션(Co-location)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통신 3사 및 대형 SI 기업이 대부분을 점유하는 국내 IDC 시장에서 민간 기관이 리노베이션 투자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드문 사례로 보고 있다.

특히 이 자산은 2024년 한국전력으로부터 추가 수전 용량 3MW를 확보해 기존 6.75MW에서 9.75MW까지 확장 가능해졌다. 현재 약 1070개 랙(Rack) 규모로 운영되는 상면의 임대 효율성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인프라다.

알스퀘어는 매도자인 하나대체자산운용 측 실사부터 매수자인 파인앤파트너스의 전략 검토, 영업보상 리스크 분석까지 전 과정에서 자문을 수행했다.

특히 세종텔레콤의 임대차 계약 구조와 실사용 현황을 기반으로 리모델링 가능성과 수익률 개선 시나리오를 구체화한 점이 거래 성사에 핵심적이었다.

파인앤파트너스자산운용은 인수 후 일부 전차인 구조조정, 신규 공조시스템 도입, PUE(전력사용효율) 개선 등을 추진해 고효율 멀티테넌트 IDC로 리포지셔닝할 계획이다. 향후 AI·핀테크·클라우드 기업 등 고부가가치 테넌트 유치를 통해 상면 임대 단가를 시장 평균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이번 거래는 자산 구조와 입지, 인허가 리스크, 전력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적 매각이었다. 실거래 정보의 투명화와 시장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상업용 부동산 자산의 구조를 깊이 이해하고, 자산별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맞춤형 매각 자문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