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만 1조5300억…전년比 19.4% 증가
[아시아에이=김충현 기자] 4대 시중은행의 부실채권(NPL) 규모가 늘고 연체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행의 2030세대 연체율도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은 올해 3분기에 6420억원 규모의 대출을 상각하고, 8910억 원을 매각하는 등 총 1조5300억 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은행권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연체율도 악화되는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61%로, 지난해보다 0.08%포인트 상승했다. 2023년 0.47%에서 지난해 0.53%로 오른 데 이어, 올해까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부실채권과 연체율이 동반 상승하면서, 은행들은 대손충당금을 대폭 늘리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가 적립한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총 5조62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3.9% 증가했다.
특히 인터넷은행을 중심으로 한 2030세대의 연체율 급등이 두드러진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인터넷은행 청년층 신용대출 연체 현황'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20대 연체율은 2021년 말 0.45%에서 올해 7월 말 1.93%로 급등했다. 30대 연체율도 0.38%에서 1.37%로 뛰었다.
토스뱅크 역시 20대 연체율이 1.48%에서 2.50%로, 30대는 0.69%에서 1.20%로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연체율 상승이 국내 경기 둔화의 여파라고 분석한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월 대비 0.1% 감소하며 2개월 연속 하락했다.
고용시장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 3분기 15~29세 청년 실업률은 5.1%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상승하며 4개 분기 연속 악화됐다.
한편 일각에서는 정부의 '부채 탕감' 정책 추진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무분별한 부채 탕감 정책은 '빚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을 퍼뜨려 금융시장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며 "결국 대출채권 회수가 어려워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