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마이데이터 활용, 금융·고용·복지 복합지원 서비스 개시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 공공정보 기반 맞춤형 지원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아시아에이=김호성 기자]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가 오는 8월 11일부터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복합지원'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고용·복지 등 복잡한 지원 제도를 연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장 상담직원의 의견을 반영해 도입됐다.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복합지원은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가 상담 시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공공정보 21종을 우선 분석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고용·복지 지원 정책을 연계하는 서비스다.

이전에는 상담 직원이 고객의 주관적인 진술에 의존해야 했지만, 이제는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해 복합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서비스 도입으로 네 가지 주요 개선이 기대된다. 먼저, 객관적인 행정정보를 기반으로 상담이 진행되어 지원 연계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또한 21종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 상담 시간이 5~10분으로 단축된다. 이어 기존에 몰라서 받지 못했던 지원 정책도 자동으로 추천되어 지원 사각지대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지원 대상자 선별 기준이 표준화되어 언제, 어디서든 균일한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와 행정안전부 및 관계기관은 앞으로도 타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신규 복합지원 연계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 및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27일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고객과 상담직원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추가 개선 필요 사항을 모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