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부동산 취득 절반이 중국...집합건물 비중 64%, 투기성 집중 우려
- 알리바바·텐센트, 국내 플랫폼 대주주로...평균 투자 8033억, 지분 17%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중국계 자본의 국내 투자 확대가 위험 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중국 자본의 영향력이 국내 시장을 잠식할 수준에 이르렀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 국제금융센터가 공개한 '최근 차이나머니의 국내 투자 급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중국의 국내 직접투자(FDI) 규모는 124.2억달러로 전년 대비 94.4% 급증했다. 이는 5년 만에 최대치이며, 미국·일본에 이어 세 번째 규모다. 신고 기준으로는 중국이 전체의 19.7%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국내 주식시장에서도 중국 자금의 존재감은 확대 중이다. 2022년 말 21.1조원이던 중국의 국내 주식투자 잔액은 2025년 6월 기준 35.1조원으로 불과 2년 반 만에 6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증가율이 연평균 3.2%인 것과 비교해 월등한 수준이다.
부동산 분야는 더 심각하다. 최근 5년간 중국은 전체 외국인 부동산 투자 건수의 47%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유지 중이다. 이 가운데 아파트 등 집합건물 비중은 64%에 달하며, 연평균 8913건이 등기됐다. 이는 2위 미국(17%)의 약 4배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에 집중되고 있어 투기성 우려도 크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기업의 국내 지분투자도 활발하다. 카카오페이(32%), 토스페이먼츠(37.7%), 시프트업(34.6%) 등은 이미 중국 자본이 주요 주주로 자리잡았다. 평균 투자금액은 8033억원, 평균 지분율은 17%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자본의 급격한 유입이 기술 유출, 시장 왜곡, 자산 인플레이션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폐쇄적 의사결정 구조와 정부 개입 가능성을 감안하면, 투명성 확보가 어려운 구조도 문제다.
특히 부동산과 반도체 등 국가 전략 자산에 대한 잠재적 통제력 확대는 경제 안보 차원에서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중국→홍콩 경유→국내 투자’라는 경로를 통한 간접투자까지 감안해 보다 정밀한 실태 파악과 규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