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뉴스1 제공)
건설현장(뉴스1 제공)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부동산 PF문제가 장기화 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시행사·시공사는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PF정상화를 위해서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 해소가 우선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24일 하나금융연구소가 공개한 '안갯속 출구(EXIT)찾기! : 부동산PF여건 및 시장 점검' 자료에 따르면 기존 추진 사업의 비용 상승과 일정 지연으로 추가자금 투입 부담이 커진 한편, 분양 저조로 투자자금 회수도 지연돼 시행사의 유동성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2020년 대비 공사비가 30%이상 상승하고 토지가격도 상승세를 지속하며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한 초기 투입 자금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인허가 건수는 2022년 50만호를 넘어섰으나 2024년에는 40만호대로 주저앉았다. 건설공사비지수 역시 인건비·자잿값 상승으로 인해 2024년 기준 130에 육박하고 있다. 

인허가가 줄고 건설공사비가 급증했지만 준공 후 미분양은 갈 수록 늘고 있다. 

지난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 2624가구로 지난해 12월보다 3.5%(7만 2451가구) 늘었다.

특히 대구는 악성 미분양으로 알려진 가구수가 3075가구, 부산이 2268가구를 기록했다. 

부동산 개발의 '바로미터'였던 PF 쏠림도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PF 시장의 위축에도 사업성이 양호한 수도권 핵심지역의 대규모 사업장은 부실 우려가 적어 금융사의 PF 취급이 원활하다"라며 "우량 시행사 및 시공사가 참여하는 개발 사업은 대형 금융사가 대규모 여신을 전략적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금융기관의 대규모 부동산금융 취급 사례를 살펴보면 KB가 '서울 북부역세권 브릿지론 대출', '한남3구역 정비사업 대출', 우리금융이 '한남3구역 정비사업 대출', 메리츠의 '유엔사부지 브릿지론 취급', 하나금융의 '서소문 11/12지구 오피스 개발 사업 주선' 등 주요 사업지 대부분이 서울에 집중돼 있다.

하나금융연구소 관계자는 "지방 중심으로 미분양 및 할인 매물이 증가하면서 가격 하방요인인 매물적체가 지방에서 장기화될 우려도 증대한다"라며 "분양 시장에서도 수요 위축세가 뚜렷한 지방에서 분양률이 저하되는 등 미분양 우려가 확대되며 주택 PF 또한 분양 리스크가 적은 수도권 개발사업 위주로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수도권의 개발 수익이 좋다보니 시행·시공사들의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라며 "정부의 강력한 지원·대책이 있어야 부산·대구 등의 악성 미분양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