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비즈플라자', '원비즈e-MP', '우리SAFE정산' 등 서비스 소개
금융 사각지대 해소 및 투명한 거래 환경 조성 목표
[아시아에이=김호성 기자] 우리은행이 원비즈플라자 등 '포용적 금융 플랫폼'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한다.
10일 우리은행은 기자설명회를 열고 중소기업·소상공인과의 동반성장 전략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원비즈플라자 △원비즈e-MP △우리SAFE정산 등 기업금융 플랫폼을 통해 공급망 관리와 금융 지원을 제공한다.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중소기업의 인프라 구축 어려움을 언급하며 "금융권 최초의 공급망 금융 플랫폼인 원비즈플라자로 상생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 9월 출시된 '원비즈플라자'는 현재 7만8000여 회원사를 확보했다. 이는 구매부터 검수까지의 프로세스를 무상 제공하며, 입찰, 예산 관리 등 특화 기능을 포함한다.
ERP 연동, 전자계약 등 편의 기능과 다양한 경영지원 솔루션도 제공된다. 중소기업 임직원 복지 서비스도 지원하며, 우리은행은 올해 안에 회원사를 10만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지난달 '원비즈e-MP'를 자체 개발해 개시했다. 이 플랫폼은 상거래 데이터를 연동하여 금융 지원 및 판매대금 관리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모든 절차가 자동화되어 수수료 부담 없이 모바일로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중소기업은 담보 없이 '우리CUBE데이터론'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작년 대금 정산 지연 사태 이후 우리은행은 '우리SAFE정산' 서비스를 통해 투명하고 안전한 전자상거래 환경 조성에 나섰다. 우리은행이 PG사와 협력하여 결제 대금을 직접 관리하고, 수수료와 판매 대금을 분리 지급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판매사는 실시간으로 정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였다. 이 서비스는 6월 기준 4만건 이상의 정산 실적을 기록하며 성장 중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포용적 금융 플랫폼으로 금융 사각지대 해소에 노력할 것"이라며 "AI·디지털 혁신을 통해 포용 금융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