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차증권]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 [사진=현대차증권]

[아시아에이=김호성·박대한 기자] "올해 우리나라에 외국인이 관심을 보이는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의 리오프닝, 그에 따른 글로벌 경제 연착륙 기대감이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올해 증권시장에 긍정적인 시그널로 중국의 리오프닝을 주목했다.

노근창 센터장은 "2월 이후 외국인이 경기 회복과 중국 소비 관련 업종을 주목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성장 테마의 반등을 견인할 수 있는 결정적 재료인 2년물 금리 하락 시점이 지연된다면, 로테이션 국면 속 경기 회복과 중국 소비 관련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리오프닝은 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됐던 경제활동이 재개되는 현상을 뜻한다. 중국 문화관광부에 따르면,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 기간 중국의 자국 여행객은 3억800만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의 88%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은 다가올 3월에는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전국인민대표대회를 앞두고 있다. 이때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방향성에 따라 우리 경제는 반사 이익을 누릴 수 있는 셈이다.

노 센터장은 "중국 리오프닝에 따라 한국의 수출 부진이 개선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0.16%p, 전체 수출 물량 상승률은 0.55%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다가올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관해서 노 센터장은 '동결'을 예상했다.

노 센터장은 한은이 기존 성장률 전망치(1.7%)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기조가 현상유지된다면 금리 조정보단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지난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며 한미간 금리차는 1.25%p정도 벌어져 있고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떨어지길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이번 FOMC 성명서의 유의미한 문구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장단기 스프레드 역전폭 감소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게 노 센터장의 평가다.

이는 코스피, 코스닥 전망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2450선을 돌파한 코스피 지수가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노 센터장은 "코스피 밴드를 2200~2750pt로 예상했으며 상저하고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특히 주요국의 OECD 선행지수 월별 낙폭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의 높아지지 않는 터미널레이트를 반영해 장단기물의 추세적인 플래트닝 가능성이 낮다면 EPS(주당순이익) 하향 조정의 끝자락을 서서히 맞이할 수 있다는 풀이다.

이와 함께 노 센터장은 코스닥의 경우도 하향조정의 끝자락인 역실적 장세가 후반부를 향해 가고 있는 것으로 바라봤다. 노 센터장은 "정책 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장단기 금리 하락 폭이 전개되는 금융장세 초입장을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즉 해당 구간에 진입할 경우, 금리 민감도가 높은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수 있다는 의미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다만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 지난 10일 발표된 미시건대 기대 소비심리지수는 시장 예상치인 68.5p를 큰 폭으로 상회한 72.6p를 나타냈다.

또한 새롭게 바뀐 CPI(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4분기 헤드라인 CPI가 전전월대비 약 0.1%씩 상향조정됐다. 이는 증시 반등을 이끌었던 12월 헤드라인 CPI도 전월비 0.1% 줄어든 지표에서 0.1% 상향조정했다.

노 센터장은 "1월 CPI 하방 서프라이즈 기대감을 낮게 가져가고 있다"며 "1월 헤드라인은 전월대비 0.5%, Core CPI는 전월대비 0.4% 상승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올해도 ESG는 전 산업군에서 주목해야 할 이슈가 될 전망이다. 노 센터장은 "정부가 ESG 채권의 공신력을 강화하고자 가이드라인을 설립하는 등 시스템 구축에 나설 전망이다"고 말했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ESG 인프라 고도화 방안'을 마련해 ISSB 국제표준·국내산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국내 ESG 공시제도를 정비할 방침이다. 즉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자본시장법령 등 개편을 통한 국내 ESG 공시기준 마련하고 ESG 공시 의무화 방안 구체화 등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노 센터장은 "ESG는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은 만큼 향후 관련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시아에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