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강변북로 지하화 1조5000억 사업 진행여부에 '촉각'

국토부 적격성조사 결과 대기... 고양시, 2026년 마스터플랜 확정 추진

2025-11-25     김수빈 기자
[사진 = 국토부]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고양시는 수도권 서북부의 구조적 교통 병목을 해소하기 위해 이산포IC~가양대교 15km 구간을 잇는 ‘자유로~강변북로 지하고속도로’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다만 국토부는 적격성조사가 진행중이라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해당 사업 구간은 사업비 약 1조5000억 원 규모의 대심도 고속도로로 총 8차로로 건설 예정이다. 완공되면 고양에서 강남권까지의 이동 시간을 ‘30분대’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사업은 단일 노선 개선을 넘어 수도권 광역도로축 재편과 직결돼 있다.

국토교통부는 현재 양재~고양 민자고속도로(청계산JCT~가양대교 33.5km, 사업비 약 3조400억 원)와 서울~고양 노선(청계산JCT~덕이IC 42.6km, 사업비 약 4조2000억 원)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적격성조사 중이다.

고양시는 이 노선들이 실제 효과를 내려면 자유로와 연동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산포IC까지 연장 반영을 지속 요구하고 있다.

고양특례시 도로정책과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토부는 적격성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양시가 관리하는 자유로 구간은 '지자체 단독 추진이 타당하다'는 의견도 제시한 상태다.

반면 고양시는 광역도로망의 연계성과 도시권 통근수요를 근거로, 연장 반영이 ‘필수적 요소’는 입장을 다시 한번 정리해 경기도와 국토부에 전달했다.

고양시는 통일로·주교~장항·고일로 등 다른 주요 도시축과 함께 자유로의 지하화 필요성을 한꺼번에 제시하는 방식으로 경제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확인된다.

관건은 경제성이다. 대심도 도로 사업은 구조적으로 B/C 확보가 쉽지 않다.

자유로 지하화만 해도 1조5000억 원이 투입되고, 양재~고양 축 전체로는 3조~4조 원대가 들어가는 만큼 재정 부담 논쟁은 불가피하다. 그럼에도 고양시는 자유로 상습 정체 해소, 고양~강남 이동 시간 단축, 서북부~동남부 광역축 신설, GTX·BRT 등 대중교통망 확장과의 연계성을 내세워 사업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고양시는 “광역도로망 전반이 재편되는 시점에 자유로 구간의 지하화와 연장이 함께 이뤄져야 효과가 극대화된다”며 정책 일정을 국토부의 민자도로 적격성조사 결과와 맞춰가고 있다.

결국 연장 여부가 결정될 국토부 적격성조사는 사업의 방향을 가를 분기점으로 꼽힌다.

본사업으로 확정되고 연장이 반영될 경우 고양~강남을 직선으로 잇는 유일한 지하 고속축이 마련된다. 반대로 연장이 반영되지 않으면 고양시는 자체 사업 구조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고양시는 2026년 상반기 마스터플랜 확정을 목표로, 필요성·당위성·경제성·광역 연계 효과를 종합 제시하며 중앙부처와 경기도 설득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