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가계대출 4.8조↑…2금융권 증가세 뚜렷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에어려워지자 신용대출 몰리기도
[아시아에이=김충현 기자] 10월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대비 증가폭이 커졌다. 제2금융권 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데다, 10월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사업장이 증가해 집단대출의 일시 증가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차주들이 신용대출을 대거 늘린 것도 한몫했다.
금융위원회가 13일 발표한 ‘10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이달 가계대출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이 감소했으나 전월(1조1000억원↑) 대비 증가세가 커졌다.
가계대출은 지난 6·27 대책의 영향으로 7월 2조3000억원 증가에 그쳤지만, 8월(4조7000억원↑)에 반등했다. 9·7 대책의 영향으로 9월에 1조1000억원 증가하며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10·15 대책에도 불구하고 다시 증가세가 커졌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3조5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 은행권은 증가폭이 4000억원 줄었고, 제2금융권은 1조1000억원으로 두 달 연속 증가폭을 유지했다.
신용대출 등을 포함하는 기타대출은 9월 2조4000억원이 줄어들었다가 10월에 1조6000억원이 증가하며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는 특히 신용대출이 9월 1조6000억원 감소에서 10월 9000억원 증가세로 전환된 데 따른 것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10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늘었다. 은행 자체 주택 담보대출(3000억원↓)과 정책성 대출(1000억원↓)은 증가폭이 전월 대비 줄었다.
반면 기타대출은 9월에 5000억원이 감소했다가 10월에 1조4000억원이 증가해 전월 대비 크게 늘었다. 10·15 대책으로 부동산 대출이 어려워지자 신용대출을 찾는 차주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3000억원 증가해, 전월(8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상호금융권은 증가폭(1000억원↑)이 커졌고, 저축은행(3000억원↓)은 감소폭이 축소됐다. 1금융권이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서민 차주가 2금융권 대출로 몰린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가계부채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신진창 금융위 사무총장은 “10·15대책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연말 주담대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통상 11월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인 만큼, 향후 가계부채 추이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