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 508조 ‘생산적 금융’ 투입…"자금 운용 신중해야"

KB·신한 110조·농협 108조·하나 100조·우리 80조원 계획 부동산 쏠린 금융자금, 혁신기업 등 생산성 높은 곳에 투자 명분

2025-11-10     김충현 기자
[사진=뉴스1]

[아시아에이=김충현 기자] 국내 5대 금융그룹이 향후 5년간 508조원을 생산적 금융에 투입한다. 그러나 연체율 상승과 부실채권 증가로 ‘자금 쏠림 리스크’ 우려도 커지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과 신한금융은 지난 9일 각각 110조원을 생산적·포용 금융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부동산시장에 쏠린 금융 자금을 생산성이 높은 혁신기업 등으로 돌리겠다는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다.

앞서 농협금융이 108조원, 하나금융이 100조원, 우리금융이 80조원을 투입하기로 밝히면서, 5대 금융그룹의 총 투자 규모는 500조원을 넘어섰다.

KB금융은 총 110조원 중 93조원을 생산적 금융, 17조원을 포용 금융에 투입한다.

생산적 금융 93조원은 △투자금융 25조원 △전략산업 융자 68조원으로 구성되며, 투자금융에는 △국민성장펀드 10조원 △그룹 자체투자 15조원이 포함된다. 전략산업 융자는 첨단전략산업 및 유망 성장기업에 집중 지원된다.

신한금융도 향후 5년간 110조원을 공급한다. 주요 내용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 △초혁신경제 15대 프로젝트 10~15조원 △중소·중견기업 대출 72~75조원 등이다. 특히 AI, 반도체, 기후·에너지, 콘텐츠 등 미래 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포용 금융에도 12~17조원을 배정했다.

농협금융은 108조원을 생산적·포용 금융에 투입한다. △투자·융자 68조원 △모험자본 15조원 △국민성장펀드 10조원 △포용 금융 15조원을 계획하고 있으며, 첨단전략산업·지역특화산업·창업벤처기업 등에 대한 ‘기업성장지원대출’을 확대할 예정이다.

당초 KB·신한·농협 등 3대 금융은 하나·우리금융보다 계획 발표가 늦어졌으나, 결과적으로 더 큰 규모의 자금 투입을 결정했다. 이로써 5대 금융의 생산적·포용 금융 규모는 총 508조원에 이르게 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생산적 금융’ 계획을 놓고 일각에서는 ‘민간의 팔을 비틀어 지원하기’의 재판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2월에도 총선을 앞두고 금융위원회가 주도해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이 발표됐다. 이번에는 그보다 25배가 넘는 금액이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연체율 상승과 부실채권 증가로 5대 금융의 부실률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무리한 금액이 투입될 경우 타격은 민간 부문이 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다만 금융권은 ‘생산적 금융’이 국민펀드 등 투자방식을 띄고 있어 전과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생산적 금융이 제대로만 관리되면, 금융권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