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중심 가계대출 6.5조원 증가...금감원 “총량관리·우회대출 점검 강화”

2025-07-10     김수빈 기자
금융권 주담대·기타대출 증감액 추이.[사진= 금융위원회]

[아시아에이=김수빈 기자] 6월 가계대출이 전 금융권에서 6조5000억원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폭을 키웠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가계대출 확대를 주도한 가운데, 금융당국은 대출 증가세 지속을 경계하며 총량관리와 우회대출 점검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0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5000억원 늘어 전월(5조9000억원)보다 6000억원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담대가 6조2000억원 늘어 전체 증가분의 95% 이상을 차지했다. 은행권 주담대는 5조1000억원 늘었고, 이 중 일반 주담대가 4조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집단대출이 △2000억원, 전세대출이 3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은 6조2000억원 늘어 전월(5조2000억원) 대비 1조원 증가폭이 커졌다.

특히 은행 자체 주담대가 3조8000억원 증가하며 전월(2조5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 늘었고, 정책성 대출인 디딤돌·버팀목 대출은 1조3000억원으로 전월(1조6000억원)보다 다소 감소했다. 기타대출은 1조1000억원 증가해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상호금융권을 제외하고 둔화됐다. 상호금융권은 1조1000억원 늘며 전월(8000억원) 대비 확대됐지만, 저축은행은 △400억원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보험사도 △2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고, 여신전문금융사(여전사)는 △6000억원으로 감소폭이 커졌다.

금감원은 금융권 총량관리 목표 준수 여부를 월·분기별로 점검하고, 특히 사업자대출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한다.

사업자대출이 실질적으로 주택구입 자금 등으로 전용되는지 여부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용도 외 유용이 확인되면 대출 회수 및 신규대출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자금출처 의심 사례와 허위계약 신고 등을 점검하고, 위법 사항에 대해 지자체 및 관계기관에 통보·수사의뢰할 예정이다. 국세청은 수도권 등 시장 과열지역을 중심으로 편법 증여 등 탈세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P2P·대부업 등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수도권 및 규제지역 내 주담대에 대한 전입의무(6개월 이내) 준수 여부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위반 시 대출 회수 등의 강력한 조치를 예고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대출 증가세 둔화 효과가 일부 나타나고 있지만, 정책의 진정한 성패는 우회수단 차단과 일관된 리스크 관리에 달려 있다”며 “금융회사들이 실수요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면서도, 감축된 총량목표 달성을 위해 관리계획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