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배당성향 40% 목표

향후 3년간 배당성향 30% 이상 보장  28년 배당성향 40% 이상·ROE 10% 이상 달성 목표 

2025-01-16     김호성 기자
[사진=현대차증권]

[아시아에이=김호성 기자] 현대차증권이 16일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현대차증권은 △배당성향 40% 이상 달성 △자기자본이익률(ROE) 10% 이상 달성 △업종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 상회 등을 골자로 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 

내용에는 재무 안정성 및 자본 효율성을 기반으로 안정적 수익을 창출하고, 지속적인 주주환원을 통해 업계 최고의 '고객 및 주주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배당성향은 2028년까지 업계 최고 수준인 40%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올해부터 3년간 연결기준 배당성향 30%~35% 수준을 유지하고, 배당성향 하한도 30%로 정했다. 

이와 함께 기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 잔량 약 704만주를 오는 5월 전량 상환한 후 소각할 예정이다. 총 775억원 규모이며, 소각 이후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 이슈가 해소됨에 따라 향후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또한 자구 노력을 통해 매년 ROE를 높이면서 2028년까지 ROE 10%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저평가돼 있는 PBR도 끌어올릴 계획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현대차증권의 PBR은 0.22배로, 증권업종 특성을 감안해도 낮은 수준이다.

아울러 3개년 밸류업 로드맵을 제시했다. 올해는 주주배정 증자 등 자구 노력을 통해 ROE 4.0%를 달성할 계획이다. 

오는 2026년~2027년엔 차세대 원장 시스템, AI, RA 도입 등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해 ROE를 8.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수익성을 개선하고, 신사업 확장 등을 통해 2028년까지 업종 평균 상회 PBR, ROE 10% 이상을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사업 부문별 중장기 목표도 제시했다. 리테일 부문은 VVIP 채널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특화 증권사로 도약함과 동시에, 퇴직연금 사업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일반기업 적립금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S&T 부문은 수익원 다변화 및 금융상품 수탁고 증대와 함께, 소액채권 매수·매도 전담 업무 안정화, 은행채 리그테이블 최상위권 유지 등을 통해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IB부문의 경우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불확실한 시장에 대응하고, 토탈 금융 솔루션으로 우량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신기사 및 PEF 펀드 결성 등 운용업도 육성할 계획이다.

향후 현대차증권은 반기 실적 설명회 개최, Coporate Day 활성화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장과 소통을 해나갈 예정이다. 또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관련 전담부서에서 이행 실적을 점검하고, 경영진 및 이사회 보고를 통해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계획이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이번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기반으로 '기업 밸류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향후 자구 노력을 통한 ROE 및 배당 개선을 통해 주주환원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